건강새소식

전화 문의 안내

  • 02-501-1828
  • Fax. 02-3452-2192
  • 평일 08:00 ~17:00
  • 토요일 08:00 ~13:00
  • 점심시간 13:00 ~ 14:00

일요일, 공휴일 : 휴진
<접수마감>
평일 (월~금) : 오후 4시 접수 마감
주말 (토) : 오후 12시 접수 마감
★진료접수는 진료 현황에 따라 조기 마감 될 수 있습니다★ *고재준원장님,김태호원장님은 오전은 11시30분,오후 3시30분 접수마감입니다.

칼럼

  • 건강새소식
  • 칼럼

제목

불면증,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1분 Q&A]


Q. 남편의 불면증 때문에 고민이 많아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남편은 현재 술집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픈 초기에는 낮과 밤이 완전히 뒤바뀐 생활을 하며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많이 힘들어했습니다. 그 시기에는 퇴근 후 거의 매일 술을 마시는 생활이 이어졌습니다. 지금은 가게가 안정되어 운영도 한결 여유로워졌지만, 여전히 술 없이는 잠을 잘 이루지 못합니다. 술 대신 수면제도 처방받아 복용해봤지만, 다음날 심한 어지럼증만 느껴질 뿐 효과는 거의 없었다고 합니다. 이후로는 수면제 복용도 중단한 상태입니다. 술을 끊고 편안하게 숙면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A. 안녕하세요. 신경과 전문의 한진규(서울스페셜수면의원)입니다.
남편께서 불면증 증상으로 불편을 겪고 계시군요. 대표적인 불면증 증상으로는 잠이 잘 오지 않는 입면장애, 자는 도중 자주 깨는 잦은 각성, 그리고 원하지 않게 너무 일찍 깨는 조기 기상 등이 있습니다. 특히 입면장애는 잠자리에 들어서 20분 이상 잠들지 못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불면증 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원인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면증은 크게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차성 불면증은 잠을 자려고 지나치게 노력하면서 오히려 긴장이 심해져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런 상태가 3주 이상 지속되면 만성 학습 불면증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밤이 두렵거나 잠을 못 잘까 봐 걱정이 앞서는 분들이 여기에 해당되며, 인지행동치료가 효과적입니다. 반면 이차성 불면증은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 등 다른 질환으로 인해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이차적 원인 역시 시간이 지나면 학습화되어 만성화될 수 있으며,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원인을 정확히 확인한 후 치료를 받으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불면증도 하나의 질환이므로 치료를 받으면 충분히 좋아질 수 있습니다. 우선 신경과 진료를 통해 원인에 따른 맞춤 치료를 받으시길 권합니다. 병원에 내원하기 전에는 수면 위생을 지켜보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저녁에는 조명을 어둡게 하고, TV나 노트북,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사용을 최대한 줄이세요. 부득이하게 사용해야 한다면 눈에서 멀리 두는 것이 좋습니다. 야간에는 운동을 피하고, 잠자기 1~2시간 전에 족욕을 하면 숙면에 도움이 됩니다. 야식은 피하되 허기가 질 때는 마른 김이나 따뜻한 우유 한 잔 정도를 드시면 좋습니다.

수면제는 불면증의 근본적인 치료제가 아닙니다. 단지 잠을 유도하거나 강제로 자게 하는 약물일 뿐이며, 불면의 원인을 해결하지는 못합니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부작용이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면제나 수면유도제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며, 약국에서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는 수면 보조제는 대부분 건강기능식품으로, 실제로는 감기약 성분이 포함된 경우가 많습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불면증은 원인을 찾고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